상단 배너
BUSAN WORLD EXPO 2030 2030 월드엑스포를 우리의 힘으로!
닫기


2040년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일상화 시대 대비, 미래선점기술 확보 방향 제시

작성일
2025-05-30 09:41:31
작성자
기업정책과
조회수 :
81
  • 250530 조간 (보도) 2040년 휴머노이드 일상화 시대 대비, 미래선점기술 확보 방향 제시(수정).hwpx 다운로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내 대표 로봇학술단체인 ()한국로봇학회융합연구혁신전략위원회 등 산··연 전문가와 정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융합토론회(미래융합포럼) 2025 상반기 분과(세션)(부제:차세대 물리형 인공지능 모형(피지컬 AI 모델) 기반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미래선점기술 개발 전략)529() 서울대학교 해동첨단공학관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융합연구 혁신전략위원회(’25.3월 출범)를 통해 발굴된 미래 기술·산업의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꿀 유망 융합신기술 분야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미래기술선점하기 위한 개발 방향소개하고, 현장연구자 의견수렴을 위해 개최되었다.

 

과기정통부가 소개한차세대 물리형 인공지능 모형 기반 인간형 로봇(피지컬 AI 모델 기반 휴머노이드) 미래선점기술 개발 전략()2040 범용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일상화 시대 대비하여 공통 기반, 한계 돌파, 연구개발 공백 영역, 세가지 축으로 9대 중점기술(기술혁신 과제)을 담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이러한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관련 중점기술에 대한 투자확대할 계획이고, 그 간 확산된 융합연구 문화를 기반으로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연구성과 축적통합 실증검증하는 체계강화하는 한편, 급변하는 기술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이동표적(무빙타겟)제도 혁신적인 연구방식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차세대 물리형 인공지능 모형 기반 인간형 로봇(피지컬 AI 모델 기반 휴머노이드) 미래선점기술 개발 전략() 주요내용은 향후 2026년도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시행계획(국과심 운영위 상정, ’26년 상반기)반영되어 추진 예정이다.

 

토론회(포럼) 현장에서는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보행 동작 시연 이루어졌고, 이어진 기술 사례 강연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임재환 교수의 물리형 인공지능(피지컬 AI) 기술 동향과 한양대 최영진 교수의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보행기술의 진척과 당면 과제를 집중 조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진행된 전문가 참여자(패널) 토론에서는 연구계, 산업계, 정책 담당자들이 참여해 기술 개발 방향, 정책 추진 시 고려사항, 융합연구 방법론 등에 대해 활발한 의견을 나누었다.

 

김정 한국로봇학회장민간 투자가 어려운 미래 기술선제적으로 꾸준히 투자한다면, 2040 범용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일상화 시대에는 미중과 같은 선도국으로 도약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정택렬 공공융합연구정책관최근 전 세계는 인공지능이 현실 영역으로 확장되는 물리형 인공지능(피지컬 AI)로서 미래에 모든 영역의 변화이끌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주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당장 준비하기 어려운 미래 선점 기술선별투자하여 범용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일상화 시대 선도국 도약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담당부서
기업정책과
전화번호
051-979-5326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Quick Menu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