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해상물류, 유통의 중심지로서 환서해와 환동해 경제권의 교차지인 동시에 장차 남북한 육로가 연결되고 대륙철도가 연결시 중국, 러시아를 통해 유럽까지 연계되어 동북아 육상 화물의 기종점 역할을 할 것입니다.
1876년 개항한 부산항은 주요 피더항(일본 63항, 중국 40항, 러시아 6항)과 연계된 수출입 환적지이며 국내 최대 임항형 물류거점항입니다.
신항이 완공되면 총 제2신항 21선석, 신항 13선석 등 총 57개 선석의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3,700만 TEU이상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는 명실 공히 세계 3대 교역권의 중심이 될 것입니다. 또한 신항의 배후부지에는 물류와 연관된 부가가치산업들이 입주하여 항구의 기능을 강화시킬 것입니다.
그 밖에도, 김해국제공항은 공항운영 효율성 평가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1위로 선정되었으며, 북경, 상해, 동경, 오사카, 홍콩, 방콕, 호찌민, 블라디보스토크 등을 연결하는 30여개 이상의 국제노선을 구비하여 신항의 물류경쟁력을 지원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