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BJFEZ MAGAZINE HELLO BJFEZ 2025. 07. Vol. 95 (Kr)
P. 32
GREAT 전문가 칼럼
글. 박병주
경남연구원 혁신성장본부장
싱가포르 물류산업 혁신을 통한 성장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물류산업 발전 전략
래전략 기구 설치 및 컨트롤타워 기능의 고도화를 추
진한 것이다. 싱가포르는 2014년 ICT 기술과 혁신
을 통해 스마트 국가로 변모하기 위한 장기적인 전략인
Smart Nation(스마트 국가) 이니셔티브를 발표하
였다. 스마트 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의 핵심은 디
지털 경제, 디지털 사회, 디지털 정부였으며, 디지털 환
경변화에 따른 분야별 현안 이슈 및 문제를 거버넌스,
산업인프라, 인적자원의 스마트화로 적극 해결하였다.
스마트 국가 실현을 위한 전략 글로벌 물류경쟁력을 위한 시급한 과제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은 OECD 국가 및 무엇보다 싱가포르는 유럽과 동아시아를 이어주는 해
신흥국 포함 총 67개국에 대해 매년 국가경쟁력을 평 상루트의 중심에 위치한 지경학적 장점을 잘 활용한 글
가·발표하고 있다. 국가경쟁력은 국가와 기업이 그들 로벌 물류중심지로 알려진 도시국가이다. 싱가포르의
의 부를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유하고 물류산업은 전체 GDP의 약 9%로 국가 경제에서 차
있는 역량을 평가한 것으로 2024년 싱가포르는 이 평 지하는 비중이 크다. 하지만 단순히 지리적인 이점만
가에서 1위를 하였다. 최근 3년간(22년~24년) 싱 으로 글로벌 물류중심지로 성장한 것은 아니다. 2023
가포르 국가경쟁력은 3위, 4위, 1위로 높은 국가경쟁 년 세계은행 World Bank 이 발표한 물류성과지수(LPI,
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Logistics Performance Index)에서도 싱가포
2023년 세계은행이 발표한 전 세계 198개국 대상 1 르는 1위를 차지하였다. 물류성과지수는 국가의 물류
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0만 2,450달러로 세계 1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 지표로 통관, 물류인
위(2021년 기준)에 올라서기도 하였다. 이처럼 싱가 프라, 운임산정 용이성, 물류서비스, 화물추적, 정시
포르가 부유한 국가가 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배경 성 등 6개 항목을 평가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2014년
은 범정부 차원의 국가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국가 미 5위, 2016년 5위, 2018년 5위로 3번 연속 5위였
래발전의 지향점과 방향성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 으나, 코로나19 이후 5년 만의 발표에서 1위를 하였
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적인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미 다. 이 또한 2016년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