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BJFEZ MAGAZINE HELLO BJFEZ 2025. 07. Vol. 95 (Kr)
P. 33
HELLO BJFEZ vol.95
(IMDA)이 발표한 물류산업 디지털 플랜을 통해 물류
관련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에 집중하여 얻은 결과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물류경쟁력은 2023년도 LPI에서
세계 17위로 20위권 내에 처음 진입하였으나, 화물추
적(23위), 정시성(25위), 운임산정 용이성(26위), 물
류서비스(20위)로 물류서비스 제공과 운영에서의 경
쟁력 확보를 위한 디지털 전환이 시급한 실정이다. 우
리나라의 글로벌 물류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
한 과제는 물류산업의 디지털전환 속도를 앞당기는 것 러 부처로 분산된 거버넌스로 인해 맞춤형 미래전략 수
뿐만 아니라, 화물운송의 추적성과 정시성 향상을 위한 립과 효과적인 행정절차 진행이 불가능하고 미래정책
통합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현재 육상·해상·항공 을 위한 혁신 전략의 추진체계 부재에서 생기는 차이이
으로 분리되어 있는 물류데이터를 통합하고 공유를 원 다. 최근 신냉전시대 도래로 주요 해상운송 경로인 남
활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2024년 대한상공회의소의 중국해, 대만해협, 말라카 해협, 호르무즈 해협, 수에즈
트럼프 집권2기 물류공급망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운하 등에서 위험성은 확대되고 있고, 수에즈 운하·홍
서도 미국의 물류공급망 재편에 한국 물류기업들이 기 해 사태로 희망봉 우회 항로를 이용하면서 물류 지연과
업 간 협력네트워크 구축·정보 공유 등으로 대응을 가 해상운임 상승 문제로 아시아~유럽 운항기간을 10일
능하게 할 수 있도록 정부는 국토부·해수부·산업부 등 이상 단축시킬 수 있는 북극항로에 대한 관심이 커지
물류 관련 정부부처의 정책 거버넌스 통합과 부처 간 고 있다. 또한 아시아와 북미대륙을 연결해 주는 글로
협업 강화, 물류공급망 거점에 항만·터미널 등 인프라 벌 공급망에서의 부산항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어 부산
확보를 지원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싱가포르는 이미 공 항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맞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공항만 운영사인 PSA가 정부투자를 받아 항만운영과 북극항로 구축 지원 특별법이 북극항로 관련 국내 역량
물류 관련사업 이외에도 다양한 사업을 위해 수많은 자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담아 발의 되었다. 향후 북
회사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항만물류 글로벌 네 극항로는 단순 항로가 아닌 여러 산업 간 협력의 중심
트워크 구축을 위해 1996년부터 해외에 진출하여 중 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운·항만·조선·에너지·어업
국·인도·이탈리아·사우디아라비아·한국·일본 등 26 등 다양한 분야가 협력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부산항
개국 60개 터미널에서 항만 개발 및 운영사업에 참여 배후의 경제자유구역이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싱가
하고 있다. 포르가 녹색성장·첨단소재·디지털 전환 등 미래발전
을 위해 정한 이슈에 대한 집중 투자, 관련기관들의 공
지속가능한 미래방향과 거버넌스 격적 지원 프로그램 운영 및 민간기업 등과의 협업 체
유럽과 동아시아를 연결해 주는 요충지에 있는 싱가포 계 효율화 등으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국제
르항과 아시아와 미국을 연결해 주는 요충지에 있는 부 교역과 자본이동, 인적교류의 중심지로 만들고, 물류·
산항은 입지적인 우위로 싱가포르항은 세계 1위, 부산 금융·관광 중심의 서비스 고부가가치 산업생태계의 혁
항은 세계 2위의 환적항이다. 하지만 항만을 중심으로 신으로 지금의 성공을 이룬 것처럼 부산진해경제자유
싱가포르는 글로벌 물류 중심지이자 비즈니스 중심지 구역청이 지속가능한 미래방향 설정과 실행을 위한 주
로 성장하였지만 부산항 배후지역은 고부가가치 산업 요 거버넌스로 역할을 하여 新성장의 기반을 만들어
생태계 형성을 통한 성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여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33